생성형AI 안내

AI 이용자 보호를 위한 참여형 제보 플랫폼 입니다.

FAQ

AI 위험성에는 어떠한 유형이 있나요?

A.

생성형 AI로 인한 위험성은 폭력, 성범죄·성희롱, 자살·자해, 아동·청소년 보호, 명예훼손, 저작권 침해, 개인정보 침해, 불법 범죄 방조, 오정보, 혐오·차별·편향성 등과 같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본 홈페이지 “생성형 AI 위험성 안내” 메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바로가기>

피해를 입은 경우, 법적 대응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피해를 입으신 경우'온라인 피해 365센터"를 통해 신고가 가능합니다. ‘온라인 피해 365 센터’ <바로가기>

위험성 제보 후 어떤 절차가 진행되나요?

A.

① 이용자가 AI 위험성·불편 사항 제보 시 서비스명, 일시 등을 작성하고, 해당하는 위험성 유형 선택
② 제보된 생성형 AI의 프롬프트를 기반으로 진위 여부 검토
③ 원칙적으로 모든 제보는 사업자에게 전달하되, 필요시 개선 요청과 함께 전달해 사업자에게 개선 가능 여부 확인
④ 제보 내용의 조치 현황·내용 등 제보자에게 안내(필요 시)
⑤ 위험성 제보 사례 콘텐츠 제작·배포를 통해 피해를 예방하고 데이터 수집을 통해 이용자 보호 정책 및 항후 플랫폼 운영 근거로 활용됩니다.

제보한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나요? / 제보 처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나요?

A.

제보 내용에 대한 진행 상황의 경우 “제보 처리 상태 확인”을 통해 가능합니다. 제보에 대한 피드백의 경우 제보 내용의 중요성 등에 따라 피드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제보 처리 상태 확인” <바로가기>

제보한 내용이 공개되나요?

A.

제보자의 동의 없이 제보 내용은 공개되지 않으며, 제3자 동의를 통해 제보 주신 AI 서비스 사업자에게 전달 됩니다. 제보내역에 개인정보를 최소화 해주시길 바라며, 다른 사용자들에게 경각심을 주기 위해 개인정보는 마킹처리 되어 사례가 홈페이지에 공개 될 수 있습니다.

위험성 제보 페이지의 ‘AI 서비스명’에 제가 찾는 AI가 없습니다.

A.

생성형 AI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다양해지고 있어, 선택 시 “기타” 메뉴를 통해 선택해주시면 도움 드리도록하겠습니다.

위험성 제보 페이지에서 첨부파일이 업로드가 실패합니다. / 파일 업로드 중 오류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A.

첨부 파일의 경우 pdf, hwp, jpg, png, ppt, xlxs을 지원하며, 첨부 파일 용량의 경우 첨부파일 당 10MB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이 플랫폼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나요?

A.

성형 AI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발생하는 문제점들에 대해 이용자들이 경험한 서비스의 부작용이나 역기능을 제보하고, 이 정보를 AI 서비스 제공사업자 및 다른 이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는 이용자 참여형 플랫폼입니다. AI 서비스를 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하여 안전하고 건강한 AI 환경을 만들어 가겠습니다.

피해를 입은 경우, 법적 대응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피해를 입으신 경우'온라인 피해 365센터"를 통해 신고가 가능합니다. ‘온라인피해365센터’ <바로가기>

제보처리확인을 위한 이메일 코드값이 안와요

A.

제보처리확인을 위한 e-mail code값의 경우 스팸메일로 분류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스팸메일함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Top